누리호 발사 성공에 이어 항공위성 서비스, 독자위성항법시스템 한단계 전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4시 발사, 정상 비행으로 우주 공간으로 진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성능검증위성과 신호도 주고 받았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1.5톤급 탑재체를 우주 공간으로 보낼 수 있는 발사체 보유 세계 7개 강국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누리호 성공으로 단번에 우주 강국의 반열에 올라선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가야할 길은 아직 멀다고 합니다.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과 비교하면 한참이나 뒤쳐져 있기 때문입니다. 발사체 기술력과 신뢰도를 더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술력 뿐만 아니라 거버넌스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취약한 게 현실입니다. 미국, 중국, 일본 등은 독립적 우주조직을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그렇지는 못합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빠르게 극복하느냐가 앞으로 남겨진 과제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누리호 발사 과정을 지켜본 뒤 향우연 관계자들에게 '항공우주청을 설립해 적극적으로 우주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항공우주청 설립을 두고 국내 우주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고 합니다. 특정 지역에 설립하겠다고 현 정부가 고집하면서 자칫 전체 우주 거버넌스의 방향성을 잃어 가고 있다는 지적이 많이 있습니다.
누리호 이후 발사체 고도화 사업
발사체 고도화 사업도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누리호는 성공이후 2027년까지 초소형위성 등을 탑재한 뒤 우주로 4차례 더 쏘아올릴 계획입니다. 발사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목적입니다. 현재 발사체 분야는 미국의 스페이스X가 독보적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전폭적 지지를 바탕으로 로켓 재활용까지 성공한 바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정부 중심의 우주개발이 기본이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국가 프로젝트별로 추진되면서 전체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습니다. 앞으로 국가에서 민간 중심으로 옮겨가면서 어떤 전략을 마련해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누리호 개발에는 약 300개 국내 업체가 참여했습니다. NASA가 스페이스X에 관련 기술을 전수하고 민간의 경쟁력을 통해 승승장구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이제 향우연 등 관련 기술을 민간에 빠르게 이전해서 민간 우주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
누리호의 성공은 '포스트 누리호'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성공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도 누리호 성공 이후에 대해 '이제 우리나라가 우주로 가는 길을 열었다.'며 '앞으로 차세대 발사체는 어떻게 할 것인지, 우주로 가서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 누리호 개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성능이 향상된 우주발사체 개발을 추진해서 우리나라의 위성 발사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