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에서 사라지는 빙하, 40년간 6배나 늘어
남극의 빙하가 깜짝 놀랄 정도록 무서운 속도록 녹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의 경각심을 알려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남극 빙하가 최근 수십년간 무서운 속도로 녹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어비인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I) 지구시스템 과학 교수 에릭 리그놋 박사 연구팀이 남극에서 사라지는 빙하의 양이 지난 40년 사이 6배나 늘어난 사실을 밝혔다고 14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습니다.
리그놋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1979~1990년에는 매년 40기가톤(1기가톤은 10억톤)에서 2009~2017년 년간 252기가 톤으로 증가해 6배나 늘어났으며, 그 결과 해수면의 높이가 1.4cm정도 상승했습니다.
리그놋 박사와 동료들은 얼음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남극대륙 주변의 176개 분지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온난한 바닷물과 인접한 빙판의 가장자리 지역에서 용융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빙하 유실이 없는 곳으로 여겨졌던 남극 동부 빙하마저도 녹고 있다는 사실도 알렸습니다. 이는 동부 빙하는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그간의 과학적 견해와 배치되는 연구 결과입니다. 아직까지는 남극 서부가 빙하 손실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동부 남극 역시 멀지않은 미래에 급속도로 녹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큰 빙하의 손실
해수면 상승의 가장 큰 원이이 된 두 빙하가 있습니다. 하나는 북극 그린란드의 빙하이고, 또 하나는 서남극의 스웨이츠의 빙하입니다. 15년 동안 두 빙하에에서 녹은 얼음의 양은 6조 4천 9백억 톤입니다.
북극의 그린란드에서 6년동안 파리 면적의 빙하가 유실되었습니다. 동남극은 얼음이 더 생기기도 하는데, 서남극의 스웨이츠 빙하는 빠른 속도록 녹으며 지난 6년 동안 LA 크기 면적이 감소했습니다.
빙하손실의 원인
빙하 유신의 배경에는 지구 온난화 현상이 있습니다. 멸종 위기를 맞은 제주 한라산의 구상나무 숲,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연이은 대형 산불, 호주 산호초지대의 '백화현상'처럼 지구 전역의 공기와 해수가 데워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전력 발전과 화석연료의 연소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증가가 원인입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가 태양열을 포획하면서 지구에 남은 열이 육지에 붙어있거나 바다에 떠다니는 얼음을 녹입니다."라고 밝혔습니다.
한국도 역시 심각합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농도는 미국해양대기청에서 발표한 전 지구 평균농도(409.8PPM)보다 높았으며,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빙하 손실의 결과
연구팀은 얼음 손실을 막고 해수면 상승을 최소화한다고 여겨졌던 남극대륙 내부의 강설이 얼음이 녹는 속도에 상응해 증가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 이 같은 불균형은 녹는 얼음이 강설보다 많아져서 해수면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그놋 박사는 남극대륙 빙하가 계속 녹으면 앞으로 몇 백년 안에 해수면이 수미터 상승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남극 대륙은 대부분의 지구 얼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남극 빙하가 녹으면 평균 해수면의 57m나 상승하게 됩니다.
리그놋 박사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했습니다.
"해수면이 30cm만 높아져도 부산 해운대, 인천 송도 같은 해안 도시에는 어마어마한 침수 피해가 발생합니다. 한반도 해안선이 수 km 후퇴하는 것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라고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의 설명입니다.
김교수는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의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녹아내린 그린란드의 빙하가 전 세계의 초래할 '나비효과'를 경고해왔습니다.
온실가스가 만든 '열'로 인해서 녹아내린 빙하는 전 세계 해수면 상승에 직격탄이 됩니다. 기후학자들이 매해 최고치를 경신하는 빙하의 유실량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불어난 바닷물은 육지를 서서히 집어삼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 기후변화 연구단체 '클라이밋 센트럴(Climate Central)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서 2050년 전 세게 3억명이 거주하는 지역에 매년 침수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금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따른 수치입니다.
영국 리즈대 앤드루 셰퍼드 교수는 "전 세계 해수면이 1cm씩 상승할 때마다 600만명이 홍수와 해안 침식의 위험에 노출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기후 학자들은 지금 당장 지구 온난화가 멈춘다고 하더라도 그린란드의 빙하는 계속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빙하가 사라지는 양이 '티핑 포인트(tiping point)'를 넘어섰다는 말입니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가 이 자료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10년 뒤에는 우리나라 국토 5% 이상이 물에 잠기고, 332만명이 직접적인 침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이됩니다. 인구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피해가 집중되면서 인천공항, 김포공항을 비롯한 국가 기간 시설들이 완전히 침수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인천공항 제 2 여객터미널의 기능이 마비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인류의 노력
김백민 교수는 '빙하의 유실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슈퍼 태풍' 등 극단적인 기상현상과 맞물려 우리나라에 더 심각한 복합적재난을 초해할 수도 있습니다.'라며 '인류에게 다소 고통이 따르더라도 탄소 배출을 대폭 줄여서 '탄소 제로(zero) 사회"로 나아간다면 아직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이 1.5도를 넘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따라서 올해말까지 유엔에 2030년 감축목표와 2050년 저탄소 발전전략을 제출해야 합니다.
권원태 APEC 기후센터원장은 "실현가능한 구체적인 탄소 감축 목표치를 연도별 단계로 설정해야 됩니다."하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이 매우 불충분하고 석탄발전 투자를 지속하는 '기후악당'이라는 국제사회의 비판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더욱 적극적인 탄소 감축 정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정상훈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팀장은 "현재 정부가 진행하는 그린뉴딜은 친환경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좋은 정책이 될 수 있으나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잇는 정책은 아닙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국내 댐과 하천, 제방의 안전도는 지점에 따라 최대 3.7년까지 급격히 낮아졌다고 지적했습니다. 100년에 한 번 범람할 것으로 예상된 하천 제장이 멀지 않은 미래에는 4년에 한 번씩 범람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탄소감축을 진행하는 한편, 홍수 등을 대비해서 댐과 하천의 피해는 막는 즉각적인 대책도 진행해야 됩니다."하고 말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