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은 연수, 세수, 원단이라고도 하고,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합니다. 정초의 차례를 통해서 조상에게 인사는 하는 것과 웃어른에게 세배를 하는 것으로 새해 첫날을 맞이합니다. 가족들은 새해의 덕담을 서로 주고 받으며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하기도 합니다. 덕담은 새해인사로 새해에 복을 기원하는 내용이 주된 내용을 이룹니다. 그 밖에도 설날의 세시풍속은 아주 다양합니다. 차례 후에 차례상에 놓였던 여러 명절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이 마련되어 친인척과 이웃을 찾아서 세배를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입니다. 이 날은 조상의 무덤을 찾아가서 성묘도 행합니다. 지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의 묘에 고하는 것입니다.
이 날은 연날리기, 널뛰기, 종정도놀이, 윷놀이 같은 세시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음력으로 1월 1일이며, 명절 (공휴일)입니다.
설날의 유래
설날은 원단, 세수, 연수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합니다. 설은 한자로 신일이라고 쓰기도 하지만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감가한다."는 뜻입니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었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이유입니다.
설날의 세시풍속
설날의 세시풍속은 아주 다양합니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씩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칩니다.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 복조리를 구매하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습니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서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을 행하기도 합니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이 새 옷을 설빔이라고 합니다. 아침에는 가족 및 친척들이 모여들어서 정초의 차례를 집냅니다. 차례는 모처럼 자손들이 모두 모여서 오붓하게 지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는 순서대로 세배를 올립니다. 떡국으로 마련한 세찬을 먹고 어른들은 세주를 마십니다. 세찬이 끝난 후에는 차례상에서 물린 여러 명절 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이 마련됩니다.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면서 덕담을 나누고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해줍니다. 친인척과 이웃을 찾아서 세배를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중의 하나입니다.
중류 이상의 가정에서는 부녀자들의 외출이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에 문안비라 하여 여자종을 성장시켜 일가친척에 보내어 신년문안을 드리게 했습니다. 정초에 어른이나 친구를 만나게 되면 말로써 새해인사를 교환하는데 이를 덕담이라고 합니다. "과세 안녕하셨습니까?" 또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고 설날 인사를 합니다.
벼슬을 하는 집에서는 옻칠을 한 책상을 대청에 비치해둡니다. 그러면 밑에 거느린 아전들이 종이를 접어서 이름을 써서 책상 위에 놓고 답니다. 이것은 새해 문안인사를 드린다는 뜻이며, 각 관청의 서리와 영문의 교졸들도 종이에 이름을 적어서 관청이나 선생의 집에 드리는데 이를 세함이라고 합니다. 이날 조상의 무덤을 찾아나서는 성묘도 합니다. 지난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의 묘에 고하는 것입니다. 정초에는 여러 가지 제액을 물리치는 속신이 있는데, 삼재를 물리치는 부적이나 문에 걸어두는 세화, 귀신이 신을 신고 가면 불길하다고 신을 감추는 야광귀 쫓기, 각 간지마다 금기할 사항과 해야할 일을 정해두는 속신이 있습니다. 이 날은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 종정도놀이와 같은 세세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