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은 중추절, 한가위, 가배라고도 합니다. 한해의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가장 풍성한 명절입니다.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시작했으며, 신라와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지냈고 조선시대에는 국가적으로 선대왕에게 추석제를 지낸 기록이 있습니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 합니다. 차례상에 올리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하며 먼저 조상에게 선보이고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합니다. 조상단지, 터주, 성주 같은 집안신들도 햇곡식으로 천신하며 추석치성을 올립니다.
추석에는 줄다리기, 거북놀이, 소놀이, 씨름 등 다양한 민속놀이도 행해졌습니다.
수확철이라서 많은 음식을 선보이며 추절시식이라 해서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면서 무나 호박을 넣은 시루떡이나 율단자, 인절미도 만듭니다.
날짜는 음력 8월 15일이며, 명절 (공휴일)입니다.
추석의 유래
중추절, 한가위, 가위, 가배라고도 합니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입니다. 유래는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하였고 일종을 추수감사절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 때 6부의 여자들을 둘로 편을 나누어서 두 왕녀가 여자들을 거느리고 7월 기망부터 매일 뜰에 모여서 밤늦도록까지 베를 짜게 했습니다. 8월 보름이 되면 그동안의 성적을 가려서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을 했습니다. 이때 '회소곡'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면서 놀았는데 이를 '가 비'라고 불렀습니다.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지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으로 선대 왕에게 추석제를 지낸 기록이 있습니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습니다.
추석의 여러가지 행사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 합니다. 조상 상에 바치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해서 먼저 조상에게 선보이며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합니다. 조상단지, 터주, 성주 같은 집안신들도 햇곡식으로 천신하며 추석치성을 올립니다. 추석에는 정월 대보름보다는 작지만 풍성한 민속놀이도 행해졌습니다.
줄다리기, 거북놀이, 씨름, 줄다리기, 소놀이 등을 즐겼다고 합니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제주도 풍속에는 조리희라 부르는 줄다리기, 닭잡는 놀이인 포계지희, 그네 등과 같은 놀이가 있었습니다. 수확철이라서 다양한 음식이 선보이고 추절시식이라고 해서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고 호박이나 무를 넣어서 시루떡을 만듭니다. 찹쌀가루를 쪄서 찧어 떡을 만들며 콩가루나 깨를 묻힌 인병, 찹쌀가루를 쪄서 꿀을 섞어서 계란처럼 만드는 율단자도 만들어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리고 반보기의 풍습도 있었습니다. 반보기는 시집간 여자가 친정에 가기가 어려워서 친정부모가 추석 전후로 사람을 보내서 만날 시간과 장소를 미리 약속해서 시집과 친정 중간쯤에서 만나는 것입니다. 지금은 이 풍습이 없어졌지만 추석 뒤에는 음식을 장만해서 친정에 가서 놀다 오도록 했습니다.
추석과 공휴일
추석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고유한 명절로 자리잡고 있으며, 추석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갑니다. 북한에서는 추석을 지내지는 않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공유일로 지정했다고 합니다.
차례상 차릴 때 주위 할 점
복숭아는 올리지 않습니다. (털이 있는 과일은 귀신을 쫓는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꽁치, 삼치, 갈치 등 이름이 '치'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붕어, 잉어 등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고춧가루 등 붉은색 양념은 쓰지 않습니다.
마늘 등 향이 강한 양념은 쓰지 않습니다.
짜거나 맵게 양념하지 않습니다.
간장 대신 소금으로 간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