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백두산 폭발 어떻게 될까

by 나도1등복권 2023. 11. 7.
반응형

 남태평양 통가에서 일어난 해저화산 분화 이후에 한반도의 활화산인 백두산의 폴발 가능성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900년대부터 31번 분화한 백두산

 기상청에 의하면 백두산은 900년대부터 지금까지 총 31번 폭발하였습니다. 그동안 규모가 가장 컸던 분화는 고려시대 때인 946년~947년에 일어난 '천년 분화'입니다. 학자들마다 의견이 모두 다르지만, 그 당시에 화산분출물량이 100~170㎦에 이르렀으며, 화산재가 일본의 쿠릴열도까지 도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화산폭발지수(VEI)'는 7입니다. 화산폭발지수는 화산의 폭발 규모를 숫자로 나타내는 지표이고 0에서 8까지 9등급으로 나누게 됩니다. 한 등급 사이의 폭발 규모는 10배로 책정됩니다. 

 

기원후 화산폭발지수가 8인 분화는 없었다고 합니다. 7인 분화는 946~947년 천년 분화, 1257년 사말라스의 화산 분화, 1812년 탐보라 화산 분화 등 3번의 분화가 있었습니다. 

 

 

 

 

안심할 수 없는 백두산의 분화

 백두산이 마지막으로 분화한 시기는 97년 전인 1925년입니다. 100년이 되지 않아서 전문가들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의견을 모으고 있습니다. 

 

중국의 학계에서는 지난 2002년~2005년 백두산에서 규모 3~4의 화산성 지진이 72회 일어났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는 안정기 기준 월 7회의 10배 수준으로 그 당시에 화산학자 대부분이 백두산의 분화 확률이 높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한켠에서는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을 자극하여 분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그러나 핵실험장의 위치가 함경북도 풍계리라는 것을 감안하면 백두산을 자극하려면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일어나야 되는데 아직은 그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고 있습니다. 

 

 

 

 

 

 

선제적인 화산대응 종합대책

 화산재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남북공동연구 추진 등 충분하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2011년 '선제적인 화산대응 종합대책'에서 백두산이 분화하여 화산재가 고도 25㎞까지 솟아 오르게 되면 편서풍을 타고 일본을 넘어가서 태평양까지 날아갈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반도로 북풍계열 바람이 불어올 때 백두산이 폭발하면 화산재가 한국(남쪽)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거기에다 '초고농도 미세먼지'도 큰 문제입니다. 지난 2020년 대한원격탐사학회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2012년 5월 16일' 백두산이 분화되었다고 가정한 시뮬레이션에서 분화한 뒤에 31시간이 지나면 초미세먼지(PM2.5)가 서울에 도달하게 됩니다.

 

38시간 뒤에는 농도가 ㎡당 2만 4547마이크로그램으로 최고를 기록하였습니다. 이 미세먼지는 분화 50시간이 지난 뒤에야 한국을 지나가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