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의 인상이 본격적으로 높아지면서 정기예금 잔액이 한달만에 47조원 넘게 늘어났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심해지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
금리 인상이 본격적으로 높아지게 되면서 정기예금의 잔액이 한달 새 47조원이 넘게 늘었습니다. 특히, 이자수익으로만 웬만한 직장인 연봉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10억원 넘는 고액 예금잔액은 800조원에 달했습니다. 여유자금의 격차에 의한 '부익부 빈익빈'의 현상이 시간이 갈수록 더 심해질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은행권에 의하면 10월 말 기준으로 5대 시중은행의 정기 예금 잔액은 808조 2276억원으로 9월보다 47조 7231억원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의 통계에 의하면 지난 9월 5대 은행을 포함한 예금은행의 정기예금은 32조 5000억원 늘어나서 2002년 1월 관련해서 통계 작성 이래 월별 증가폭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월 들어와서 5대 은행에서만 정기예금이 47조원이나 넘게 불어나면서, 전체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의 증가 폭은 다시 사상 최대 기록을 갱신했습니다.
찐부자들의 이자수익
뭉칫돈이 있는 '찐부자'들에게는 요즘이 재테크의 봄날입니다. 주식이나 코인처럼 원금 손실의 우려가 없으면서 6%대 이자까지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올 6월을 기준으로 은행의 저축성예금 중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한 총예금 규모는 787조 9150억원에 달했습니다. 이것은 전년에 비교하면 71조 6800억원, 10%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의 규모입니다. 10억원 넘는 고액의 계좌가 1년 동안 1만개 늘어났습니다.
10억원 초과 고액계좌 중에서 정기예금 급증세도 눈에 띕니다. 정기예금은 지난 6월 기준으로 528조 9780억원으로 전년 509조 8150억원에 비교해서 3.8% 증가했습니다.
이에 비교해서 법인, 개인기업의 일시 여유자금을 예치하는 기업의 자유예금은 같은 기간 동안 234조 7850억원에서 237조 3960억원으로 1.1% 늘어났습니다.
당분간은 유지될 금리 상승 현상
KB국민, 우리, 하나, 신한은행 등 4대 은행 1년 정기예금 금리가 최고 연 4.71%로 올랐습니다. 한국은행은 특판으로 자사 PB 고객에 한해서 1년 정기예금 금리를 연 4.8%로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일부 저축은행에서는 조건없는 최고 연 6.5% 예금도 출시되었습니다. 10억원을 예금하면 세후 이자만 5500만원 정도가 됩니다. 웬만한 직장인 1년치 연봉보다 많은편입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채권시장 불안에 따라서 각 은행들이 자금조달을 위해서 서로 예금 금리를 올리고 있어서 당분간 이런 현상은 지속될 것 같다'면서 "그야말로 '돈이 돈을 버는 시대'가 왔다"고 말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과 메타버스 (0) | 2022.11.07 |
---|---|
3만원 무이자 할부 카드 (0) | 2022.11.06 |
부동산 증여 서둘러야 아낀다 (0) | 2022.11.06 |
벤처 투자 유치와 세금 혜택 (0) | 2022.11.06 |
저탄소 산업단지 (0) | 2022.11.06 |
댓글